어느 날 천안함이 순식간에 북괴의 어뢰 공격을 받고 침몰하였다. 어느 날 공정사회란 여론의 칼날을 맞고 유명환 외교통상부 장관이 사퇴하였다. 천안함이 침몰한 직후 대통령은 북괴의 개입가능성은 전혀 없다고 하였다. 그런데 정밀한 조사 결과 북괴의 어뢰공격으로 침몰한 것이 확실하게 드러났다. 유명환 장관이 사퇴하자 이명박 대통령은 러시아를 방문해 제2개성공단 이야기도 꺼내고 대북 수해지원도 자연스럽게 꺼냈다. 북괴는 상습적인 수단으로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하였다. 유명환 장관을 사퇴로 몰고 간 것은 소위 공정사회란 화두였다. 그렇다면 어쩌면 공정사회란 잣대는 유명환 장관을 날리기 위한 도덕적 어뢰가 아닌가? 그리고 그 배경에는 북괴의 요청이 있지 않았겠는가 하는 짐작이 간다.
물론 이런 이야기로 만약에 유명환 장관의 딸이 불공정하게 특채가 되었다면 그런 사실을 옹호할 생각은 전혀 없다. 그러나 G20정상회의니 유엔총회니 6자회담재개니 하는 외교상 중대한 문제들을 앞두고 외교수장을 그런 이유로 전격적으로 사퇴시키는 것이 국익에 얼마나 도움이 되며 그로 인한 국익의 손해가 얼마나 클 것인가 하는 점이다. 딸이 특채되었다면 그 문제는 조용히 법대로 처리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중요한 외교적 현안문제를 다 치른 후에 처리해도 늦지 않을 것이다.
오래 전 이야기지만 북괴가 원칙론적으로 접근하는 한국의 통일부 장관 교체를 요구해서 한국 정부는 이에 따랐고, 이후 통일부 장관은 한국 대통령이 아니라 김정일이 임명하는 듯한 일이 벌어졌었다. 지금 북괴가 달러화가 급하고 물자지원이 급하게 되니 원칙론적으로 접근하는 유명환 장관을 제거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그 작전을 펼친 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그러고 보면 대북정책과 관련하여 ‘기다리는 것도 하나의 전략’이란 말로써 북괴의 변화를 기다리던 정책이 이명박 대통령 자신의 정책이 아니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국내정치에서 별로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는 이명박 대통령이 그래도 잘 한다는 평을 받은 것이 바로 북괴에 대해 기다리는 정책을 일관되게 밀고 나간 것과 한미동맹을 돈독하게 유지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유명환 장관이 어느 날 갑자기 폭풍처럼 휘몰아친 공정사회란 칼날에 맞아 비명횡사하고 나니 갑자기 대북 유화정책이 고개를 들었다. 뿐만 아니라 대통령은 김정은이 권력을 승계해도 대화상대가 아니라는 식으로 애둘러 김정은 권력승계를 적어도 비판은 하지 않았다. 간접적으로 시인한 셈이다.
결국은 친북좌파들이나 북괴가 생각할 때 대북원칙론자인 유명환 장관을 제거해야 남북관계가 예전의 친북좌파정권처럼 회복되고, 북괴에게 물자나 돈을 지원하게 될 것으로 판단하고 제거 수단으로 공정사회란 잣대를 내세운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생긴다. 원래 친북좌파들이 도적적 기준을 내세워 사람을 공격하기를 잘 한다. 물론 그 도덕적 잣대를 북괴의 김정일에게는 절대로 사용하지 않는다. 위선의 극치인 셈이다. 여기에 이명박 대통령도 장단을 맞추는 꼴이 된 것은 아닌지 걱정이다. 노무현씨가 주권(자주)의 잣대로 한미연합사를 해체하였듯이 이명박 대통령은 공정사회의 잣대로 대북 한 원칙론적인 외교관을 제거한 것 같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