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中, 김정일 訪中 당시 우회적으로 '쓴소리'
|
원자바오(溫家寶), 北中정상회담 당일 "法治확립은 中공산당의 중요한 一步"
|
김정일의 방중(訪中)과 관련해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가 일본정부 대표단과 회담을 가진 것으로 전해져 목적과 내용에 대한 궁금증이 증폭되고 있다.
지난달 30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인터넷판(한글판)이 밝힌 고위층 동향에 따르면 원 총리는 ‘제3회 일중(日中) 고위급 경제대화’를 위해 베이징(北京)을 방문한 오카다 가쓰야(岡田克也) 일본 외무상과 전날 회담을 가졌다. 신문은 양 대표가 양 국의 관계발전 등 원론적인 대화만을 나누었다고 밝혔지만 김정일 방중과 관련한 비공식대화도 가졌을 것으로 관측된다.
김정일의 이번 방문과 관련한 중국 정부의 입장도 궁금증으로 남고 있다. 하지만 고위층의 행적을 볼 때 그리 우호적이지만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인민일보 보도에 의하면 원 총리는 김정일 방중 이틀째이자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진 27일 전국의법행정사업회의를 소집하고 “법에 따라 나라를 다스리는 법치정부를 건설하는 것은 중국 공산당에 있어서 치국(治國)의 혁명적 변화”라며 “우리나라 정치체제 개혁이 내디딘 중요한 일보(一步)로서 시대의 획을 긋는 중요한 의의가 있다”고 강조했다.
중국 권력구조에서 총리는 우리의 정부에 해당하는 국무원의 수반이며 외교와 내정 등에서 막강한 권한을 갖고 있다. 즉 총리의 발언이 곧 중국의 입장이 되는 것이다. 때문에 자칫 무법(無法)과 수령세습독재를 고수하고 있는 김정일의 비위를 상하게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원 총리가 이러한 발언을 한 것은 김정일에 대한 경고로 해석될 수 있다. 황장엽 전 노동당 비서에 의하면 중국은 개혁개방 등 북한의 정상화(化)를 지속적으로 요구해왔다.
하지만 자유민주주의 이념이 중국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막는 방파제 역할을 하는 김정일의 존재 자체는 여전히 간과하지 않는 것으로 관측된다. 인민일보 보도에 따르면 후 주석과 원 총리는 김정일 방중 약 1주일 전인 18일 ‘무장경찰 지린(吉林)성총대 지린시지대 3대대 9중대’에 기초건설모범중대 영예칭호를 수여하는 등 이번 김정일의 방문 지역인 지린성의 공안당국을 독려했다. 지린성 공안병력은 이번 방문에서 도로 전체를 봉쇄하는 등 물샐 틈 없는 경호를 펼쳤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