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식공작원은 이런 글을 쓴다. 송두율의 경우
|
<핵개발은 당연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순전히 평화적인 목적만을 갖고 있다고 북한이 누차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성된 국제정치적 분위기는 결과적으로 북한에게 핵협상 카드를 쥐어주었다>
|
황장엽 선생의 증언으로 그 정체가 밝혀졌던 비밀 북한노동당원 송두율. 그는 1995년에 쓴 '통일의 논리를 찾아서'(한겨레신문사)란 책에서 북한의 핵무기 개발을 변호하는 말장난을 이렇게 하고 있다. 그의 정체가 밝혀진 뒤 돌이켜 보면 그는 이런 글을 통하여 공작원의 역할을 수행한 것을 알 수 있다. 지식 공작원은 글을 어떻게 쓰는가를 알게 해주는 자료이다. 그는 한번도 북한정권이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다는 명백한 사실을 시인하지 않는다. 왜인가. 그의 내재적 접근법 때문이다. 그의 내재적 접근법을 그는 가끔 내재적 비판적 접근법이라고 부르지만, 그는 항상 북한의 발표문을 비판없이 무조건 신뢰한다. 북한이 그때는 한번도 핵무기 개발을 시인하지 않았기 때문에 그도 핵무기 개발을 시인하지 않는 것이다. 그는 '북한의 완강한 사찰거부 자세가 바로 핵무기 개발 계획의 실재를 입증하는 것이나 다름없다는 주장은 미묘한 정치적 내용을 지닌 핵문제의 전략적 의미를 간과하는 단순논리 위에 서 있다'고 말한다. 핵무기를 개발하지 않지만 다른 전략적 이유로 사찰을 거부하고 있을 것이란 의미를 전하려고 애쓴다. 그는 이어서 이렇게 썼다. <핵개발은 당연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순전히 평화적인 목적만을 갖고 있다고 북한이 누차 강조했음에도 불구하고, 조성된 국제정치적 분위기는 결과적으로 북한에게 핵협상 카드를 쥐어주었다> 북한이 개발하지도 않는 핵무기를 개발한다고 국제사회가 떠드는 바람에 북한이 공짜로 核카드를 갖게 되었다는 기발한 설명이다. 그는 또 제네바 협정으로 북한에 짓도록 된 경수로 건설에 대해서 이런 해석을 한다. <북한이 남한의 경수로를 수용한 사실속에서 우리는 이 책의 서두에 화두로 삼았던 '배제하고 통합하는 제3'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발견할 수 있다. 이는 완전히 상대방을 배제하지도 않으면서, 그렇다고 또 완전히 서로 통합되지 않는 긴장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 북한 핵문제를 둘러싼 정치적 갈등과정은 남북이 민족적인 차원에서 합의를 도출하지 않으면 모두가 다 패자가 된다는 교훈을 새삼 일깨워주었다> 알듯 모를 듯한 예의 애매모호한 표현의 결론은 민족적인 차원에서 북한정권의 잘못을 덮어주자는 뜻인 것 같다. 그가 말하는 민족적이란 말의 진정한 뜻은, 민족반역집단인 김정일 정권이 내세우는 가짜 민족주의 노선을 수용하자는 것임을, 그의 정체가 북한노동당원임이 밝혀진 오늘 더 확실하게 알 수 있게 되었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