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 농축 우라늄 '태풍의 눈' 될까
|
|
북한의 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이 북핵 협상의 뜨거운 현안으로 부상하고 있다.
“북한이 이미 2002년 우라늄을 농축하고 있었다”는 파키스탄의 ’핵 대부’ 압둘 카디르 칸 박사의 증언이 논란에 불을 지피고 나선 형국이다.
미국 워싱턴포스트의 28일 보도에 따르면 북한에 우라늄 농축기술을 넘긴 것으로 알려진 칸 박사는 비공개 문건에서 “1999년 방북 당시 산악터널을 방문해 3개의 핵탄두를 보았다”며 “2002년 북한은 3천대 또는 그이상의 원심분리기를 가동해 소규모 우라늄을 농축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는 단순히 북한의 농축 우라늄 개발연혁을 확인하는 차원을 넘어 북한 우라늄 농축 능력과 무기화 수준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증언이 될 수 있다는 점에 외교가는 주목하고 있다.
그동안 전문가와 학계에서는 북한이 원심분리기 3천대 이상 규모의 우라늄 농축시설을 갖추고 있을 것이란 말들이 무성했지만 어디까지나 ’추정’에 불과했다.
그러나 북한에 원심분리기 제조기술과 완제품 샘플을 넘긴 칸 박사가 북한이 보유한 원심분리기 규모를 ’3천대 또는 그 이상’일 것이라고 언급함으로써 이 같은 추정은 상당한 힘을 얻고 있다는게 소식통들의 시각이다.
특히 이런 추정이 사실일 경우 북한의 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은 지금까지 관심의 초점이 돼온 플루토늄 프로그램 이상의 폭발력을 일으킬 ’태풍의 눈’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북한이 원심분리기 3천대 이상을 보유했다는 것은 연간 3개 이상의 핵무기를 지속적으로 생산할 수 있다는 의미다. 통상 우라늄 농축을 통해 연간 핵무기 1개(농축 우라늄 20㎏급)를 생산하려면 1천대의 원심분리기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결국 북한의 핵폭탄 제조기술과 능력이 그간의 예상을 뛰어넘는 수준임을 시사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 당국자들의 분석에 따르면 북한은 현재 플루토늄 40여㎏을 추출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핵무기 하나를 만드는데 플루토늄 6∼7㎏가 필요한 점을 고려하면 핵무기를 6∼8개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칸 박사의 증언대로 북한이 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을 통해 연간 3개 이상의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면 북한 핵능력에 대한 평가는 근본적으로 달라질 수 밖에 없다는게 외교가의 시각이다.
특히 우라늄탄 제조공정은 플루토늄탄에 비해 훨씬 은밀하면서도 질 좋은 핵무기를 만들 수 있고, 이전이 자유롭다는 점에서 위험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하지만 외교 소식통들 사이에서는 칸 박사 증언의 신빙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적지 않은게 사실이다. 북한 핵시설을 직접 둘러본 경험이 있는 핵전문가인 지그프리드 헤커 전 로스 알라모스 미국립핵연구소장은 칸 박사의 증언에 대해 “북한이 1999년 핵탄두를 만들 정도의 핵분열 물질을 보유했는지는 확신할 수 없다”고 의문을 표했다.
한 외교소식통도 “칸 박사의 진술은 기존의 추정을 되풀이한 것으로 특별히 새로울게 없다”고 폄하했다.
일각에서는 칸 박사의 증언을 소개한 현지 언론의 보도를 두고 미국 워싱턴 조야에 포진한 강경파가 북.미대화 흐름에 제동을 걸기 위해 교묘한 언론 플레이를 시도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어찌됐건 북한의 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은 조만간 재개될 것으로 예상되는 북핵 협상에서 움직일 수 없는 핵심 의제가 될 것이라는데는 이견이 없어 보인다.
북한은 지난 9월초 유엔 안보리 의장에게 보낸 편지를 통해 “우라늄 농축시험이 성공적으로 진행돼 결속단계에 들어섰다”고 공표한데 이어 이달초 스티븐 보즈워스 특사의 방북때 우라늄 농축을 공식 시인했기 때문이다.
보즈워스 특사는 방북직후 언론브리핑에서 “북한은 비핵화를 위한 6자회담이 재개되면 우라늄 농축 프로그램 문제가 의제가 될 것이라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어정쩡한 부속의제에 머물렀던 농축 우라늄 문제는 북핵 협상의 흐름을 좌우할 핵심현안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높고 그 과정에서 농축 우라늄의 신고와 검증을 둘러싼 북.미간의 복잡한 ’진실게임’ 양상이 펼쳐질 것으로 소식통들은 예상하고 있다.
특히 6자회담의 기본 형식은 유지되겠지만 의제와 협상의 틀에는 근본적으로 새판짜기가 불가피해졌다는게 외교가의 대체적인 관망이라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