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이 안전보장이사회의 대북 제재와 달리 하반기에도 중앙긴급구호기금(CERF)을 통해 북한에 대한 대규모 인도주의적 지원을 할 예정이라고 유엔 인도지원국 관계자가 20일 자유아시아방송을 통해 밝혔다.
이 관계자는 "지난 2월에 이어 이번에도 여러 조사 자료를 검토한 끝에 10여 개의 다른 나라와 함께 북한을 유엔 중앙긴급구호기금의 지원을 받을 국가로 선정했다"면서 "필요한 사업에 따라 지원을 하게 된다"고 전했다.
2009년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유엔이 중앙긴급구호기금을 통해 북한에 지원한 금액은 약 1천만 달러($9,999,909)다. 이 금액은 유엔의 세계식량계획(WFP)과, 세계보건기구(WHO), 식량농업기구(FAO), 유엔아동기금(UNICEF)을 통해 각 사업에 따라 북한에 지원됐다. 따라서 하반기에도 각 유엔 기구를 통한 지원 사업은 계속 전개될 것으로 보인다.
유엔의 관계자는 "올해 배정한 1억 3천만 달러의 전체 긴급구호기금 중에서 이미 7천500만 달러를 지출했고 앞으로 남은 5천500만 달러를 분배해 지원하기 때문에 북한에 대한 지원액은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국가 마다 필요한 지원 사업과 이에 필요한 지원 금액의 규모를 최종적으로 조율하고 있기 때문에 대북 지원의 정확한 액수는 추후 통보할 예정이다.
유엔 인도지원국의 브라이언 고간 사무관은 올해 상반기 동안 유엔의 대북 지원에서 세계식량계획을 통한 식량 지원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며(650만 달러) 식량 가격과 연료의 상승이 가장 큰 이유라고 설명한 바 있다.
또 식량농업기구가 종자와 농기구 등 농업 지원에 115만 달러를 사용했고, 유엔아동기금과 세계보건기구가 어린이들의 전염병 예방과 유아 사망률의 개선, 임산부의 치료와 교육에 각각 110만 달러를 지원했다.
특히 유엔이 올해 상반기 동안 북한을 지원하기 위해 쓴 금액은 2008년 한 해 동안 북한에 지출한 340만 달러보다 3배가량 많으며 스리랑카와 짐바브웨, 수단, 케냐 등에 이어 7번째로 중앙긴급구호기금을 많이 지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