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억파운드(약 22조원)에 달하는 원전(原電) 영국 수출이 무산될 위기라고 한다. 영국 북서부 무어사이드에 2025년까지 원전 3기를 건설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한국전력이 작년 12월 중국 업체를 제치고 우선협상권을 따냈지만, 협상이 틀어지면서 지난달 말 우선협상대상자 지위도 잃었다. 아랍에미리트(UAE)에 이어 두 번째 원전 수출을 기대했는데 제동이 걸렸다. 표면적으로는 도시바와 한국전력의 계약이지만 영국 정부의 입장이 중요했다. 영국 정부는 전기 요금을 낮추려고 하고, 한전은 가급적 높게 받아야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직은 밀고 당기는 과정일 수 있다.
왜 이 지경이 됐는가? 영국 현지 언론은 "한국의 정권 교체와 신임 한전 사장 임명 등으로 불확실성이 조성됐다"고 보도했다. 한국 정부의 탈(脫)원전 정책을 뜻하는 것이다. 협상을 유리하게 끌고 가려는 계산이라고 하더라도 상대에게 빌미를 준 것은 사실이다. 무어사이드 원전은 사업자가 30년 넘게 운영하게 된다. 자국에서 원전 폐쇄하면서 남의 나라 원전 30년 유지·보수해준다는 약속을 믿기 어려웠을 수도 있다.
자기 나라에선 위험하니까 만들지 말라고 한 물건을 다른 나라에는 팔겠다고 한다면 그것은 어불성설이다. 탈원전하는 한국 정부의 원전 수출이 그렇다. 영국도 1956년 첫 상업 운전 콜더홀 원전을 건설했던 나라다. 그런데 1995년 이후 원전을 짓지 않으면서 원전 산업이 몰락, 처지가 뒤바뀌게 됐다.
탈원전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내 원전 산업 생태계는 수출마저 무산되면 고사(枯死) 위기에 몰리게 될 수도 있다. 신고리 5·6호기 납품이 끝나는 2021년 이후 일감이 사라지면 부품업체 등이 문을 닫을 수밖에 없다. 우리 원전 기술은 세계 최고 수준이다. 독자 모델 원전 수출국은 우리와 미국 프랑스 일본 러시아 중국 등 여섯 나라뿐이다. 원자력은 '두뇌에서 캐는 에너지'라고 한다. 부존자원 하나 없는 나라에서 이게 무슨 짓인가? 대체 이 나라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