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버티헤럴드 -libertyherald.co.kr-
   issue 예수께서 이 나라를 살리실 것이다. Up 최종편집: 2월17일(월) 12:14    

리버티헤럴드 > Special
 한글파일로 저장  메모장으로 저장  워드패드로 저장   프린트 하기
한국인 몸속에 흐르는 아리안족의 피-1

정선 청동기 유적지 ‘영국인 유골’ 나왔다



강원문화재연구소가 지난해 강원 정선 아우라지 유적에서 발굴한 인골 출토 모습. 이 인골은 최근 DNA 염기서열 분석에서 백인 중 영국인 유전자와 유사한 결과가 나와 고고학계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사진제공/강원문화재연구소
현재의 영국인과 유사한 유전인자를 가진 약 3,000년 전의 인골이 국내 청동기 고인돌에서 발굴돼 고고학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강원문화재단 강원문화재연구소는 4일 “강원 정선군 북면 여량 2리 아우라지 유적에서 지난해 출토된 인골을 1차 분석한 결과 영국인 유전자와 유사하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강원문화재연구소측은 “서울대 해부학교실 신동훈 교수팀이 DNA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유럽계통의 백인, 특히 현재의 영국인 유전자와 유사하다는 1차 분석결과를 내놓았다”며 “국제적으로도 구체적인 확인을 위해 영국과 일본에 이 인골의 분석을 의뢰했다”고 말했다.

이 인골은 지난해 10월 아우라지 유적내 4기의 고인돌 중 한 곳에서 토기 조각들과 출토됐다.

지현병 발굴조사단장은 “당시 두개골, 골반, 턱뼈, 대퇴골, 갈비뼈 등의 일부가 발굴됐다”며 “인골과 함께 출토된 부장품의 양이 적어 인골 출토 유적의 정확한 연대확인은 힘들다”고 전했다. 지단장은 “다만 인근의 유적·유물들과 비교할 때 조사단의 입장은 약 기원전 970년 정도의 유적으로 본다”며 “국내에선 아직 선사시대 유럽계 인골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 성과가 없어 향후 고고학계의 연구가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김병모 문화재위원(한양대 명예교수)은 “아우라지 인골은 한반도의 청동기시대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라며 “개인적으로 볼 때 유럽계 유전인자를 가진 이 인골의 주인공은 벼농사 전래 경로를 따라 인도~동남아시아를 거쳐 한반도에 들어왔을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국내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서양인으로 보이는 인골이 출토되기는 1965년 충북 제천 황석리 유적 이후 두번째다.

‘황석리 인골’은 해부학적으로는 서양인으로 추정되지만, DNA염기서열 분석 등의 더 정확한 과학적인 연구 결과가 아직까지 없어 학계에서는 서양인 여부를 둘러싸고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유골 DNA분석-

오래된 유골의 경우 뼈에 있는 DNA 염기서열을 분석한다. 일단 뼈를 모두 갈아서 용액에 넣은 후 DNA를 추출한다. 이후 DNA증폭기기(PCR)를 이용해 미토콘드리아 DNA에서 특정부위(D-루프)를 증폭해 사용한다. 염기분석 결과를 표준염기서열과 비교해 변이된 정도를 보고 인종을 구분할 수 있다. 동양인끼리의 구분은 쉽지 않지만 동양인과 서양인의 구분은 명확한 편이다. 다만 과거의 유골을 현재의 사람 유전자와 분석하는 것이므로 오차가 있을 수 있다.

“기원전 6세기 무렵 한반도에 서양인이 살고 있었다?”
 

41년전 발견된 황석리 13호 인골을 두고 치열한 논쟁이 벌어지고 있다. 발굴 당시 발굴단은 서울대 의대(나세진·장신요 박사팀)에 인골분석을 의뢰했다. 그 결과는 깜짝 놀랄만한 것이었다.

분석팀은 당시 “인골의 신장이 1m74 정도”라면서 “두개골과 쇄골·상완골 등 모든 부위에서 현대 한국인보다 크다”는 결론을 끌어냈다. “두개장폭(頭蓋長幅)지수가 66.3”이라면서 “현대 한국인이 단두형(短頭型)인데 반해 이 인골은 장두형인 점이 흥미롭다”는 것이다. 김병모 한국전통문화학교 총장은 “이마·뒤통수의 길이와 귀와 귀 사이의 길이 비율을 나타내는 두개장폭지수는 한국인의 경우 100대 80~82인데 반해 서양인은 100대 70~73 사이”라면서 “황석리 인골의 지수(66.3)로 보아 이 인골은 한반도로 이주한 초장두형 북유럽인”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BC 1700년쯤 유럽의 아리아인들이 인도·이란 등으로 내려왔으며 이들이 BC 1000년부터 벼농사 전래경로를 통해 동남아시아를 거쳐 한반도로 이주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놀라운 것은 ‘얼굴 복원 전문가’인 조용진 한서대 교수가 이 인골의 두개골을 복원한 결과 ‘서양인’의 얼굴형과 거의 똑같다는 사실이다. 그는 “인골의 왼쪽 이마가 볼록하고 코가 높으며 얼굴이 좁고 길고, 이가 큰 북방계통의 사람일 것”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또 “이같은 인골의 특징은 현재 제천의 산간지역 사람들에게도 나타난다”면서 “결론적으로 알타이 지방에서 내려온, 서양인의 형질을 포함한 사람일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서양인론’에 반론을 제기하는 쪽도 만만치 않다. 유태용 경기대 강사는 “지금도 사람마다 개인차가 있다”고 전제하며 고개를 내젓고 있다. 그는 최근 발간한 ‘한국 지석묘 연구’(주류성 간)에서 “같은 인종에서도 빈부나 계급의 정도에 따라 골격이 다르다”고 전제하고 “지석묘에서 나온 뼈들은 대체로 충분한 영양공급을 받은 튼튼한 것들임에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반면 평민들은 과도한 노동력으로 어깨뼈가 한쪽으로 기우는 등의 현상을 보인다는 것.

 

결국 족장급이 분명한 황석리 인골은 잘 먹고 계급도 높은 사람의 것이지 ‘서양인’의 것으로 보기는 무리라는 게 유씨의 주장이다. 자, 지금이라도 최근 서울대에서 국립중앙박물관으로 옮겨온 황석리 인골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해보면 논쟁의 결론이 나지 않을까.

 

1965년에 발굴된 충북 제천 황석리의 13호 고인돌에서는 사람의 뼈가 발견되었는데 신장이 170cm인 40代 남자였다. 사망연대는 기원전 410년경이었다. 발견지의 이름을 따서 황석리人이라고 부른다. 그의 두개골을 계측한 결과 한국 사람과는 매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났다. 서양사람처럼 코가 크고 두개골이 앞뒤로 뾰족한 사람이었다 학술용어로 超長頭型(초장두형)인 사람이었다.
 
  여기서 체질인류학 이야기를 조금하겠다. 사람의 두개골 형태를 계측할 때 앞이마와 뒤통수의 거리를 頭長(두장), 귀와 귀 사이를 頭幅이라고 한다. 두장을 100으로 계산하여 두폭을 비교하는 수치를 頭蓋指數(두개지수·Cephalic Index)라고 하는데 이를 기초로 인종을 구별하는 방법이 있다. 한국인의 평균 두개지수는 80 전후로 短頭型(단두형)이라 하고 서양인의 두개지수는 70 전후로 長頭型(장두형)이라 한다.
 
  장두형은 머리가 앞뒤로 긴 모습이고 단두형은 얼굴이 넓어 보이는 모습이다. 그런데 황석리人은 두개지수가 70 미만이었다. 얼굴이 좁고 뒤통수가 유달리 뒤로 빠진 北유럽인의 모습이다.
 
  이건 심각한 내용이었다. 이 사람이 한국사람과 다른 인종이었다면 큰 문제가 시작되는 사건이었다. 한국인은 단일 민족이라는 정서를 감안했었는지 보고서를 담당한 서울의대 해부학교실의 두 교수는 이 사람의 생긴 모양을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았다.
 
  아마도 한국에서 발견된 고인돌 사회의 주인공이 서양인의 체질적 특징을 갖고 있다고 발표하면 한민족은 단일민족이라고 굳게 믿고 있던 사람들에게 큰 충격을 줄 것이라 생각했던 모양이었다.
 
  그 때 우리나라의 학문 수준으로는 어려운 해부학 용어로 쓰인 황석리人의 체질적 특징이 서양사람에 가깝다는 사실이 의미하는 문제를 인식하는 사람이 많지 않았다. 만일 수많은 고인돌에 묻혀 있던 사람들이 모두 현대의 한국사람과 다른 인종이었다면 문제는 심각해진다.
 
  그러나 고인돌에서 발견된 사람들이 모두 그런 체질적 특징을 갖고 있는지는 앞으로 더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에 남아 있는 고인돌의 수가 3만 개나 되니까 분명히 고인돌을 만든 사람들은 현재의 한국인의 조상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하였을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그 때는 그냥 넘어가고 말았다.
 
  세월이 지나 조용진 교수가 컴퓨터로 복원한 황석리人의 모습은 완전한 서양인의 모습이다. 황석리에서 발견된 서양인 모습의 남자는 누구인가. 古代 아시아에서 고인돌 풍속이 있고 벼농사를 경제기반으로 하면서 서양인의 두개골 모습을 한 사람들은 누구인가. 이 세 가지 조건을 모두 갖춘 사람은 인도인밖에는 없다. 그런 사람이 어떻게 한반도에 올 수가 있었느냐 하는 소박한 의문이 있을 수 있다.
 
  황석리人의 생존기간은 BC 450~410년이다. 한국사에서는 그 때가 선사시대이지만 유라시아에서 그 기간은 황금의 역사 기간이었다. 중국은 공자 이후 諸子百家(제자백가)의 시대이고 인도에서는 석가모니가 涅槃(열반)한 이후이다. 그리스에서는 소크라테스와 히포크라테스가 생존하던 시기이다.
 
  고대의 메소포타미아와 이집트에서 대규모의 관개기술을 성공적으로 실험하고도 한참 후의 일이다. 역사시대에 일어난 일을 경악의 수준으로만 생각하면 판단이 어렵다. 황석리人의 한반도 도착을, 그 때까지 인류가 발전시켜 온 누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조감하면 아무런 경이도 아닐 수 있다.
 
  고대사에 대한 나의 知的 호기심은 황석리人과의 대화를 시도하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었다. 그 호기심은 지난 30년간 고고학 주변의 여러 인접과학에 관한 연구결과를 살펴보게 하였고, 나와 가까이 지내는 여러 과학자들을 오랫동안 괴롭히게 되었다. 인접과학 중 하나가 ATL이란 병이었다.
 
  성인 T세포 백혈병(Adult T-Cell Leukemia)은 20세 전후에 나타나는데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父系遺傳(부계유전)이고 발병지역은 亞熱帶(아열대)지방이다. 중국으로 말하면 양자강 이남 지역이고 한국에서는 남부 해안지방에서 발병하는 현상이 뚜렷하다.
 
  이와 비슷한 통계로서 象皮病(상피병·Elephant Skin)이라는 것이 있다. 모기류에 물려서 다리가 코끼리의 다리(脚)처럼 붓고 피부가 거칠어지는 질병인데 조선시대까지 도서지방에서 자주 관찰되던 풍토병이다.
 
  이 두 가지 현상은 더운 환경에서 나타나는 공통성이 있는데 혹시 南아시아에서 한반도 쪽으로 흐르는 黑潮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렇다면 한반도에 벼농사를 도입한 사람들과 함께 지역성이 강한 풍토병도 우리에게 전달되었을 가능성이 보인다. 
  
  고인돌의 주인공들은 기마 민족들보다 한반도의 先주민이고 그들의 농경사회는 잉여생산물 때문에 기마 민족들보다 인구도 많았으리라는 것은 쉽게 짐작된다.
 
  기존의 농경사회에 뒤늦게 뛰어든 기마 민족들은 농경밖에 할 수 없는 땅에 와서 고생한 이야기가 陳壽(진수)의 三國志(삼국지)에 기록되어 있다. 辰韓 사람들이 이주해 오니까 馬韓 사람들이 동쪽에 땅을 떼어 주어 살게 하였다.
 
  辰韓 사람, 즉 후의 신라인들은 마한 땅의 토착인에게서 사는 법을 배우게 된 것이다. 기마 민족이 오곡을 기르는 농경인이 되면서 육식에서 채식으로 입맛을 바꾸어야 했을 것을 생각해 본다. 한민족도 이렇게 복잡한 과정과 多端한 뿌리를 기초로 이루어진 백성이라는 것이 서서히 밝혀지고 있다. 과연 민족이라는 말에서 民(민)은 百가지의 姓(성-氏族)이 합쳐진다는 뜻이 이제서야 이해가 된다.(계속)●







  
편집부 기자의 전체기사  
2008년 10월27일 01시44분  

전체 독자의견: 6 건
ㅁㄹㅇㄹㅇㄴ
"황석리人의 생존기간은 BC 450~410년이다."라고 하는데 그 때에는 한반도에서는 고조선이 만주와 한반도를 지배하고 있었습니다. 원시시대가 아닌 엄연한 국가 시대였습니다. (2009년 08월10일 09시01분)
islami siteler
<a href="http://www.islamisiteler.net" title="islami chat, islami sohbet" target="_blank">islami sohbet</a>
<a href="http://www.islamisiteler.net" title="islami siteler, islami sohbet" target="_blank">islami siteler</a> danke (2013년 04월18일 20시50분)
chat
<a href="http://www.chatoda.com/omegla.html" title="omegla, omegle" target="_blank">omegla</a>
<a href="http://www.chatoda.com/omegla.html" title="omegla, omegle" target="_blank">omegle</a>

<a href="http://www.mersinsohbet.net" title="mersin sohbet, mersin chat" target="_blank">mersin sohbet</a>
<a href="http://www.mersinsohbet.net" title="mersin chat, mersin sohbet" target="_blank">mersin chat</a>



<a href="http://www.trchat.net" title="chat, sohbet" target="_blank">chat</a>
<a href="http://www.trchat.net" title="sohbet, chat" target="_blank">sohbet</a>
<a href="http://www.chatoda.com" title="chat, sohbet" target="_blank">chat</a>


<a href="http://www.yemeksiteleri.net" title="yemek siteleri, yemek tarifleri" target="_blank">yemek siteleri</a>
<a href="http://www.yemeksiteleri.net" title="yemek siteleri" target="_blank">yemek tarifleri</a>

<a href="http://www.chatulkesi.com/genel/gabile-sohbet.html" title="gabile sohbet, gabile chat" target="_blank">gabile sohbet</a>
<a href="http://www.chatulkesi.com/genel/gabile-sohbet.html" title="gabile sohbet, gabile chat" target="_blank">gabile chat</a>

http://www.trchat.net
http://www.islamisiteler.net
http://www.mersinsohbet.net (2013년 04월18일 20시51분)
gift bags
http://www.qinsen.com/Apparel-Boxes/
http://www.qinsen.com/branded-gift-bag/
http://www.qinsen.com/packaging/baby-clothing-box/ (2013년 06월20일 21시50분)
paper bags
http://www.qinsen.com/
http://www.aige.com/
http://www.qinsen.com/Underwear-Gift-Boxes/ (2013년 06월20일 21시51분)
packaging bags
http://www.aabag.com/Christmas-Bag/
http://www.aabag.com/AA-Birthday-gift-bag/
http://www.aabag.com/Gift-Bag/
http://www.aabag.com/ (2013년 07월06일 16시43분)
 
Search

죄의 눈과 영의 눈
윤석열 복권과 민족의 새 날을 위한 기..
나라와 대통령을 위한 기도. 2025.02.07
증오의 악신 들린 자칭 정통보수들
[말씀] 승리
사막을 걷다
[영상] 북한이 한국을 점령한뒤 처참한 ..
진형구, 중국 관련 주간지 발행인 변신





단체소개개인정보취급방침 ㅣ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성욱 ㅣ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Copyright ⓒ Libertyherald.co.kr  All rights reserved    koreainjesus@gmail.com